티스토리 뷰

제목에서도 말했다시피 중국 남북조 시대의 마지막 왕조인 진(陳)의 최후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그러기에 앞서 먼저 진(陳)이라는 나라가 존속했던 이 '남북조 시대' 라는 시대가

 중국사에서 어디 쯤이며, 당시의 배경에 대해 짚고 넘어갈까 해.

 

 

1388011904blzx1uZwhC.gif

 

 

위 지도에서 보다시피 남조의 진(陳)나라는 남북조 시대 때 남조의 역대왕조들인

송-제-양-진 중에서 마지막에 위치하는 왕조가 되겠다.

 

19-140211113012.jpg

 

한편 화북지방에는 이민족들의 세상이었던 5호 16국이라는 혼란기를 서기 439년, 통일한 북위(北魏)를시작으로 동위(東魏),

서위(西魏), 북제(北齊), 북주(北周) 등, 보기만해도 헷갈리고 지랄 맞게 갖은 나라들이 분열되고 흡수되는 격동의 시대였어.

참고로 이들 왕조들은 북방의 이민족인 선비족 혈통의 왕조들이었다.

 

14118945329591.jpg

 

그리고 화남지방에서는 한(漢)족에 의한 남조가 존속되고 있었고, 앞서 말했다시피 송-제-양-진의

왕조들이 계속해서 교체되며 화북에 위치한 이민족 계열의 북조와 대립하고 있었지. 

 

 하지만 북조와 남조의 대립은 항상 불균형했었는데, 화북의 북조가 화남의 남조의 국력을 거의 압도하고 있었기 때문이야.

 

aa49b612b7adbdd68fead6a19e968280.jpg

 

남북조 시대 남조의 귀족

 

혹시 고등학교 때 사탐으로 나처럼 세계사를 고른 정신나간 게이가 또 있을란가 모르겠다.

세계사를 공부한 게이라면 남북조 시대를 공부할 때 남조와 북조의 특징으로

남조는 향락적, 북조는 호전적이라는 식으로 배우지 않았나 싶어.

 

내가 말하고 싶은 건 바로 서로 다른 이 차이가 남조와 북조의 국력차이을 결정짓게 되었다는 거야.

 

 

5호 16국 시대 때 강남으로 쫓겨난 한족(漢族)은 정착한 화남지방에만 만족하지 않고 상실한 화북지방을 수복하려고 수차례 북벌을 벌이곤 했어.

 

 하지만 매번 실패로 돌아갔었고 이에 낙담한 한족들은 에라 모르겠다 술이나 마시고 놀자는 식으로 시궁창인 현실을 외면하고

 도피하며 뜬구름 잡는 이야기나 일삼는 도교에 심취하게 되고 퇴폐적이고도 향락적인 귀족문화를 꽃피우게 돼.

 

제목 1.jpg

 

거기다 화남지방은 화북지방처럼 5호 16국 시대라는 전란으로 국토가 쑥대밭이 되고 피폐해지는 그런 전란기를 겪은 적도

없었고싸워봤자 황실의 윗대가리들끼리의 싸움에만 그쳤기에 국토가 피폐해진다거나 그런 규모의 내란은 없었어.

 

놀고먹는 갓수생활 하는 것도 자고로 쩐이 뒷받침 되야 가능한거겠지?  

특별히 전란의 피해를 입지 않았던 관계로 이 시대부터 화남지방은 경제력도 상승하여 

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남조의 귀족문화는 그야말로 전성기를 맞이하게 돼.

 

14118945393619.jpg

 

이렇게 문화와 경제부문에 있어서는 오랑캐들의 놀이터가 된 화북지방에 비해 월등히 앞섰던

화남의 남조였지만, 싸움박질하는데에 필요한 군사력에 있어서는 북조에게 압도적으로 밀리는 처지였어.

 

14118945403403.jpg

 

물론 훗날 송대(宋代)였나 언제부터인가 화남지방의 인구와 문화, 경제력이 화북을 서서히 따라잡아 추월하는 때가 있긴하지만

그때는 나중의 중세 때 이야기고, 고대에 속하는 남북조 시대 때만 하더라도 인구, 문화, 경제의 중심지는 늘 화북지방이었다.

 

제목 없음.jpg

 

고대의 전쟁에 있어서 군사력은 곧 무엇을 의미하지? 바로 인구겠지?

소위 말하는 '중원' 지역이었던  화북지방의 인구는 화남을 압도하고 있었어.

 

14118945445756.jpg

 

선비족 귀족

 

비록 쌍놈소리 듣는 선비족이 장악한 화북지방이긴 했지만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하는 북조의 역대 왕조들은 남조를 압도하고 있었던 거야.

 

14118945469828.jpg

 

한편으로는 북조의 이민족들이 남조의 한족들보다 싸움을 더 잘하는 데에도 요인이 있기도 했어.

그도 그럴게 화북지방은 이미 5호 16국 시대라는 전란기를 겪으며 성장한지라 붓보다는 칼을 중요시하여  

군사력을 강조했고 그만큼 밀리터리 분야에 있어서의 전략이나 전술, 무기나 방어구의 발전이 이루어졌지. 

 

62a10d9c61fd400323ae8ac1f21dde59.jpg

 

특히나 보병을 주력으로 하는 남조의 한족보병보다는 아무래도 말타고 싸우는 데에는

도가 튼 북조의 이민족 기병이 상대적으로도 우위를 점할 수 밖에.

이는 기병 vs 보병의 이야기로 봐도 북조의 승리로 귀결된다. 

 

f3c822e317e470b2037091a56da4dac3.jpg

 

북조의 보병과 기병

 

그리고 참고로 소위 말하는 '중장기병' 이라 부르는 기병이 등장하는 때도 바로 이 남북조 시대 때다.

우리 고구려에도 개마무사라고 부르는 중장기병이 있었듯이 중국에도 말에게도 마갑을 입힌

중장기병이 북조의 북위(北魏) 때부터 등장해. 이건 나중에 따로 중장기병에 대해 글을 써볼까 생각 중이야.

 

 

아무튼, 이렇듯 북조와 남조의 차이가 이렇게 나고 있었으며 늘 甲의 입장은 북조였다는 것만 알아둬.

 이거 하나 설명할려고 이렇게 많이 횡설수설 늘어놓았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남조 최후의 왕조인 진(陳)과 대립하던

 북조의 왕조는 고구려에 백만을 꼬라박은 나라로도 유명한 수(隋)나라 였다.

 

1388020612A1MURY7js.png

 

서기 560년 무렵의 상황.

 

화남의 붉은색 영역이 진(陳) 되겠고 화북의 파란색은 북제(北齊),

하늘색이 북주(北周), 중앙의 분홍색은 서량(西梁 : 후량이라고 부르기도 함)이야.

 

모두 위에서 열거한 남북조의 왕조들이기도 하지?

 

1388020601WQYz1Upzf4I.jpg

 

수 문제(文帝) 양견

 

수나라는 저 북주를 계승한 나라로, 곧 북주를 멸한 후 서기 581년, 화북을 통일했다.

그리고 당시 수나라의 군주는 초대황제이기도 한 문제(文帝) 양견이었지.

과거제를 성립한 것으로도 유명한 그 양반이지. 물론 최후는 좋지 않았다만..

 

1388013763EaVSthJpfG9X8.jpg

 

진 후주 진숙보

 

한편 진(陳)의 황제는 삼국시대 촉(蜀)의 유선처럼 후주(後主)로도 불리우는 5대째의 진숙보였다.

서기 582년, 수가 화북을 통일하고 이듬해에 진숙보가 즉위했을 무렵의 진나라는 상황이 그리 좋지는 못했어.

 

20140123111001187.png

 

위에서 말했듯이 남조는 늘 북조보다 국력이 뒤쳐졌던 관계로 늘 乙의 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대 황제들은 국력도 고려하지 않은채 북벌만 벌이며 가뜩이나 시원찮은 국력만 대폭 소진한 상태였다.

 

1388014946B7MVO4xcDZVsYqYGxxv7TOaTZ8.jpg

 

진의 4대 황제 고종(高宗) 선제 진욱

 

진숙보의 아버지이자 북벌을 통해 진의 영역을 확장시킨 군주였다.

 

특히나 남조의 역대 왕조들 중에서 제일 허약했다는 소리 듣는 진나라 였기에 북벌로 수복해낸 영토에 비하면

오히려 얻는 것 보다 잃은게 훨씬 컸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닐 정도로 진의 국력은 미약하기 짝이 없었던 것인데,

비단 북조와의 전쟁으로 인한 피해 외에도 남조 특유의 황족간의 내란으로 인한 국력손실도 무시못할 수준이었다.

 

 

1388016408OHhyzJnl2YJ.jpg

 

<수당연의>에서의 진숙보

 

캬 숙보 부럽노?

 

 이렇듯 국력은 쇠약해져 있었고 반면 주적 수나라는 북제까지 멸하여 가뜩이나 차이나던 국력이 갑절은 차이가 나게 되어

비실대는 진나라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똥줄이 탔을 터인데 이 진숙보란 작자는 전형적인 암군이었다.

 

위 사진마냥 꽃밭에서 술이나 마시면서 놀기 좋아하여 소위 말하는주색잡기에 도통했던 작자가 진숙보였지.

 

14118945329591.jpg

 

사실 진숙보는 애시당초 황제의 재목감이 아니었을지도 몰라.

 

기록에 따르면 진숙보는 시를 짓거나 수목이나 꽃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고 문인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는 것을 좋아했다고 되어있어. 

요즘으로 말하자면 예술적 감성이 뛰어났다고 해야하나? 냉엄하고 엄격한 분위기에서 국사를 다루는 황제의 자리는 애초에

진숙보에겐 어울리지 않는 자리였다고 봐도 무방했을거야.

 

 

그랬던 탓일까, 황족출신이었기에 온실 속 화초처럼 자라 정치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던

진숙보는 재위동안 갖가지 무능함을 마음껏 자랑하며 병크를 저지르기 시작한다.

 

13880181712KUgnHEapphzmKE5c2Ix7.jpg

 

<수당연의>에서의 장려화.

 

장서희가 연기했었다.

 

대표적인게 장려화라는 귀비를 총애했던 탓에 장려화가 진숙보를 등에 업고 조정의 일에 간섭했던 일이야.

 

물론 장서희가 연기해서 그렇게 보이는 거겠지만 장려화는 한 미모했다고 전한다.  이런 장려화에게 반한 진숙보는 어찌나 총애했던지

 애지중지하며 심지어는 조정에서 대신들과 조회를 열때도 자신의 무릎에 앉히고 참여했다고 전할 만큼 말이지.

 

2012052801002223000169381.jpg

 

진숙보의 총애에 기고만장해진 장려화는 점점 도를 넘더니만 나중에는 조정의 일에도 간섭하며

자신의 소생 황자를 태자로 삼으려는 음모술수도 꾸미고 반대하는 이들은 내치는 등 권력을 남용하기 시작하지.

 

1025694815150660134.jpg

 

그리고 진숙보 역시 그녀의 콤비 답게 전형적인 암군이 벌이는 행각인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이기에 이르는데, 역시 대표적인게 세 개의 거대한 누각을 세우게 했던 일이야.

 

각각 망선각, 결기각, 임춘각이라는 이름의 이 세 누각은 그야말로 돈지랄의 극치를 보여주는 사치행각이었어.

우선 누각을 세우는 자재인 목재에도 최고급 목재를 사용하여 세웠는데다 내부는 온갖 사치품으로 도배를 하여 호화롭기 짝이 없었지.

기록에는 이 세 누각의 향내가 2~3리 밖에서도 맡을 수 있었다고 하니 가히 그 사치스러움을 짐작할 수 있지.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은 다 누구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었겠어?

0d86a64b26537e41ad947b96a45a80bb.jpg

당연히 백성들이었지.

 

세금도 이빠이 땡겨서 걷고 국고도 죄다 탈탈 털어서 누각 건설에 다 때려박았겠다,

황제가 이 꼬라지이니 덩달아 아랫것들도 날뛰며 매관매직을 일삼기 시작해.

 

142070199216744.jpg

 

황족, 대신, 환관 너나 할 것없이 자신들의 무리에만 혜택을 주며 관직을 주고 사는

매관매직이 성행하게 되고 뜻있는 선비들은 죄다 쫓겨나고 탐관오리들이 판을 치니,

그 아랫것들도 백성들에게서 삥뜯는 건 예정된 수순이었을거야.

 

민심은 흉흉해지고 탐관오리들이 넘치면서 국고는 바닥났겠다,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의 상황을 보다못한 대신들이 진숙보에게 충언을 올렸겠지.

 

 

d099fd21f77938004aec4e69eb384ac5.jpg

 

"후궁들은 비단옷을 입고 곡식이 넘치는데 백성들은 굶어 죽은 자가 들을 덮었고, 

뇌물들이 오가면서 국고를 탕진하니 이에 하늘이 노하시고 백성들은 조정을 원망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를 틈타 북방의 수나라가 침입해오면 어찌하시려고 그러십니까?"

 

2a0c6370441998d207c8c5f8bdc50004.jpg

 

구구절절 옳은 말이었지만 진숙보는 귀에 거슬리는 충언을 올리는 신하들을

모두 귀양보내거나 처형시켜 버려 귀도 닫고 신하들의 입도 닫아버렸지.

 

f130114443675692500(0).png

 

<수당연의>에서의 문제 양견

 

한편, 충언을 올린 신하들의 경고대로 북방의 수나라는 정신못차리고 흥청망청대는 진나라를 예의주시하고 있었어.

 

당시 수나라는 북제를 멸한데에 이어 서기 587년, 형주(荊州)의 서량(西梁)을 멸한 터였다.

 

1388020612A1MURY7js.png

 

다시 지도를 보자면 중앙의 분홍색이 서량이야. (혹은 후량이라고도 부른다)

 

이 후량정권은 진(陳)나라 이전의 남조 3번째 왕조인 '양(梁)' 의 황족이 세운 정권으로,

북조인 서위(西魏)에 복속되다시피 한 괴뢰정권이었어.

 

xoNxPTzfjr6Xt81aVv.jpg

 

이 조그마한 나라가 수나라로부터 그래도 버틸 수 있었던 데에는 후량이 위치한 형주의 '강릉' 이란 곳이

그야말로 부와 남조 귀족문화의 성지이자 중심지였기 때문이야. 강릉이 어딘지 모르겠는 게이들은 삼국지에서

유비가 한때 근거지로 삼았던 강릉을 생각하면 돼. 바로 그곳이야.

 

물론 강남지방의 중심지는 역대 남조 왕조들이 그랬고 이전에 삼국시대 오(吳)나 동진(東晉)이 그러했듯

양주(楊州)지방으로, 현대 중국의 남경인 건업(建業)이었지만, 저 당시 후량이 위치했던 형주의 경제력도 만만찮았다.

그 부를 근간으로 간간히 수에 대항하고는 있었지만 결국에는 막강했던 수나라의 침공에 무릎을 꿇었던 것이었지.

 

이제 강남지방의 또다른 경제 중심지를 장악하게 된 수나라에 있어선 엄청난 이득이었을 것이고.

 

 

f130114444180536250(0).png

 

강남의 후량도 제압했겠다, 그동안 염탐하며 진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던 문제 양견은 때가 무르익었음을 느끼고

후량을 멸한 이듬해인 서기 588년, 차남 양광에게 50만 대군을 주어 진을 침공할 것을 명했어.

 

 

77d98b5aa6414ad9ccd4c247f68108ea.jpg

 

양광

 

 게이들도 알겠지만 이 양광은 훗날 수의 2대 황제 양제가 된다.

우리 고구려에 친히 백만을 꼬라박으신 양반으로도 유명하지?

 

6a00078b76cac7e9fa56ea8b887d0b63.jpg

 

수군은 파죽지세로 남하해왔어. 진의 군사들은 싸우는 족족 깨져나갔고 위급을 알리는 급보는

매일 수도 건강으로 날아들었지만 이는 간신들에 의해 오는 족족 묵살당하기 일쑤였지.

 

그러다 나중에야 수군이 대규모 침공을 감행해왔다는 소식을 접한

진숙보는 무슨 배짱에서인지 여전히 태평했다.

 

1388024080UGFYE3UFJj3WoLulLNqgjP4m.jpg

 

"우리에겐 장강이 있거늘, 무엇을 두려워 한단 말인가?"

 

천혜의 방어선이라 할 수 있는 장강, 즉 양자강을 믿고 큰소리 치고 있던 것인데,

그런 진숙보의 허세를 뭉게버리기라도 하듯 며칠 후, 수의 병력이 도하하여

도 건강으로 쳐들어 오고 있다는 장계가 다시 날아들어.

 

수나라 군사들이 등신호구도 아니고 아예 멸망시킬 생각으로 쳐들어온건데 양자강 건널 생각을 못했을까봐?

 

 

제목 없음6.jpg

 

소식을 접한 진숙보는 예전의 허세는 온데간데 없이 그제서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무서워서 질질 짜면서 두려움에 떨었다고 해.

 

20140123111001187.png

 

거기다 설상가상으로 진의 백성들이 수나라 군대를 쌍수들어 환영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지.

그만큼 진의 폭정에는 학을 떼고 있었기에 외국군의 침공에도 환영했던 것이었어.

9fcd2f410609237e1fab792240785195.jpg

진숙보는 조정대신들을 붙잡고 어쩌면 좋냐면서 대책을 논의했지만 걔네들이라고 뾰족한 수가 있었겠나?

다들 입다물고 눈치만 보던차에 자청해서 진격해오는 수나라 병력을 막겠다고 나선 이가 있었는데,

 

u=1914766805,3419644349&fm=11&gp=0.jpg

 

바로 '소마가' 라는 장수였어.

 

아마 성씨로 미루어보건데 소마가는 진나라 이전의 남조 3번째 왕조, 양(梁)의 황족출신이 아니었을까 싶어.

망국의 황족을 받아준 진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것인지 누가봐도 다 끝장난 상황에서 진을 위기에서 구해보겠다고 나선 것이었다.

 

f374208661e3b3d351420446c54e4033.jpg

 

진숙보는 크게 기뻐하며 소마가에게 큰 상을 기약하며 덤으로 소마가의 가족들까지 황실에서 안전하게 보호해주겠다고 약속했어.

 

그리고 소마가는 그 길로 병력을 긁어모아 수도 건강으로 진격해오는 수나라 병력을 막아섰지.

 

edd7938fa0ec08fa26c6b8f559ee3d6d57fbdaf6.jpg

 

명색이 최후의 분전이라 그런지 소마가가 이끄는 진군은 예상 외로

선방해내며 수나라 군대의 진격을 저지하며 시일을 끌게 돼.

 

하지만, 여기서 진숙보는 멍청하게도 제 스스로 무덤을 파는 짓을 벌이는데,

 

002chEmFzy6OX1073416d&690.jpg

 

자신과 나라를 위해 전장에서 외적에 맞서 싸우고 있는 소마가의 아내를 희롱했던 일이었어.

앞서 진숙보가 소마가에게 고마워하며 가족들을 황실에서 보호해주겠다고 했던 거 기억하지?

약속대로 궁중에 두고 보호하고 있던 것인데 소마가 마누라가 아름다웠는지 건드렸던 것이었지.

이 쯤되면 정말 색에 미친놈이라고 밖에 안보인다.

 

Img305728363.jpg

 

보다못한 소마가의 가솔들은 이 사실을 소마가에게 알렸고 당연히 소마가는 분통이 터져 환장할 지경이었다.

지를 위해 기껏 목숨걸고 전장에 나와 싸우고 있는 마당에 자신의 아내를 건드렸다고 하니 눈이 안뒤집히고 배겼을까?

그리고 결국 참다못한 소마가는 배신감에 그 길로 수군에게 투항해버렸고 그것으로 진의 최종 방어라인도 무너지고 말았지.

 

제목 없음22.jpg

 

그리고 수군은 곧장 건강으로 입성하여 궁성으로 짓쳐들어갔어. 진숙보는 수나라 군사들이 몰려온다는 말을 듣고는

그 와중에도 애첩 장려화와 귀비, 궁녀들과 함께 도주했지. 근데 기껏 숨는다고 숨은 곳이 궁성 내의 우물 안이었다고 한다.

 

근데 막상 안에 있으니 춥고 답답했던 모양이야. 거기다 수나라 군사들도 진숙보를 찾느라고 찾았는데

차마 우물 안까지는 안 뒤져봐서 계속 헤매고 있었다고 해.

 

d4004c086e061d95294f83537bf40ad162d9ca55.jpg

 

그래서 참다못한 진숙보는 크게 소리쳐서 자신이 우물안에 있다고

수나라 군사들에게 알리고 나서야 겨우 구출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때 진숙보를 우물에서 끌어올리던 수나라 병사가 말하기를,

 

"황제라 그런가 무겁구나."

 

라고 했다 하더라.

 

4d16ca12cbed6c5d65ab2b85f4eb4a6c.jpg

 

그리고 진숙보는 수의 도읍 장안으로 압송된 후, 그곳에서 문제 양견을 알현했어.

 

양견은 망국의 황제에게 직위도 내려주고 잘 집과 재산도 하사하여 먹고사는데는 불편함이 없게 해줬다고 해.

 

138802742366ikgR2Byoyuf7bWasQl87CFS.png

 

이때가 서기 589년, 수의 천하통일 되겠다.

 

그렇게 남은 여생을 편안하게 지내던 진숙보는 어느날 문제 양견에게 말하기를,

황제가 되었으면 좀 사치도 부리고 향락을 누리라는 식으로 말했다고 해.

 

양견은 기가 차서 그러겠노라 하고 겉으로는 대꾸했지만 나중에 신하들과의

자리에서는 진숙보를 비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d009b3de9c82d158b6514235800a19d8bd3e4266.jpg

 

"자신이 어쩌다 망했는지도 모르고 이젠 그걸 나에게 권하는 구먼."

 

서기 604년, 진숙보는 54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낙양의 북망산이란 곳에 묻혔는데,

공교롭게도 이곳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마지막 황제, 손호가 묻힌 곳이기도 했어.

 

게이들도 알다시피 손호도 폭군이었지? 진숙보도 손호랑 같은 클라스라는 조롱의 의미에서

같은 곳에다 매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훗날 당나라가 우리나라의 신라와 나당동맹을 맺고

백제를 멸했을때 잡아온 의자왕도 훗날 여기에 장례지냈고.

 

의자왕도 손호, 진숙보와 같이 나라를 망하게 한 망국의 군주라는 의미에서 그리 매장한 것으로 보인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